홈으로_의료정보_건강칼럼
무설탕 제품도 적정량만 섭취해야
무설탕 제품에 의외로 많은 양의 솔비톨이 검출돼 주의가 요망된다.
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은 28일 무설탕 제품에 사용되는 감미료인 솔비톨의 사용현황 조사에서 조미건어포류(100건), 어묵류(67건), 껌류(27건), 사탕류(11건) 및 기타절임류(2건) 등 총 207개 가공식품 중 163개에서 솔비톨이 검출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.
207개 가공식품에서 솔비톨은 최저 1.5g/kg에서 최고 667.2g/kg의 농도까지 측정됐다.
특히 조미건어포류의 경우 100개 제품 중 89개 제품에서 솔비톨이 검출됐고, 다른 제품보다 비교적 많은 양의 솔비톨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. 조미건어포류 가공식품에서 최고 236.5g/kg의 농도의 솔비톨이 측정됐다.
솔비톨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는 무설탕 제품에서 설탕 대체제로 사용이 증가하는 감미료다. 설탕의 60% 정도의 단맛과 2/3의 칼로리를 가지며 시원하고 상쾌한 맛을 낸다. 천연적으로 해조류와 여러 종류의 과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최근 무설탕 캔디, 껌 등의 어린이 기호식품뿐만 아니라 조미건포, 어육연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.
솔비톨은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 일일섭취허용량에 대해 특별한 규정이 필요 없을 만큼 섭취에 대한 안전성이 인정돼 당뇨병 환자의 식이나, 충치예방, 습윤제로서 제빵 등 식품가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. 그러나 2008년 독일에서 일부 무설탕 제품인 츄잉껌과 캔디에 들어있는 솔비톨의 과량섭취(하루 20g 이상)로 상습적 설사와 복통, 체중감소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
식품군별 1회 제공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, 하루 사탕 약 5개, 껌 약 1개, 조미건포 15g은 안전한 수준이다. 그러나 조미건포를 1회 제공량(15g)을 초과해 1마리(70g)를 먹을 경우 최대 16.3g 이상의 솔비톨을 섭취하게 되며, 사탕, 껌 등과 함께 섭취할 경우에는 20g 이상의 솔비톨을 섭취할 수 있어 가급적 1회 제공량을 지켜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.
건강을 위한 첫걸음 - 하이닥 (www.hidoc.co.kr)